전체 글 (131) 썸네일형 리스트형 [JavaScript] Document, 자바스크립트로 HTML 제어하기 HTML 이 CSS 와 JavaScript 를 가지고 온다. JavaScript 을 가지고 오는 이유는 HTML 과 상호작용하기 위함이다. HTML의 ELEMENT를 JavaScript 를 통해 변경하고 읽을 수 있어야 한다는 얘기 브라우저의 핵심 Object는 뭘까? 바로 Document 이다. 크롬 브라우저의 콘솔창에서 document를 입력하면 현재 화면에 불러온, HTML 파일에 대한 태그 정보들이 뜨게 된다. 이를 통해 JavaScript로 HTML에 대한 모든 제어와 동작이 이뤄지는 것이다. document는 브라우저에 이미 존재하는 object(객체) 이다. 여러분이 HTML에 접근할 수 있는 객체란 말이다. console.dir(document) 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object 가 사.. [JavaScript] 함수에서의 return 1. 조용히 주어진 일만 하고 끝 2. 어떤 일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알려주는것 (return) return 을 하게 되면 function을 실행할 때 대체하게 됨. funtion 반환값을 함수의 호출 결과담게 된다. 실제 그 결과값을 보여주고 싶기 때문에 return이 의미를 가진다. function 외부에서 그 값을 얻어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console 에서 값을 가져올 수 는 없었다. console은 단지 값을 보여주기 위함일뿐 return 을 하면 함수가 실행이 종료된다. 문자인 경우와 숫자인 경우의 차이 숫자인 경우 크기 비교를 할 수 있다. paresInt() 함수는 내부에서 부터 실행된다. NaN : Not a Number isNaN() : 숫자가 아닌지를 참/거짓 판별해주는 함수도 .. [Kotlin] ':' 콜론, Context, onCreate() 의 의미 콜론(:) - 변수 타입 지정 : 변수 타입을 지정 val, var로는 타입을 알 수 없기 때문에 - 상속의 의미 : class MainActivity : AppCompatActivity() [JavaScript] 함수란? 객체 안에서의 함수, 밖에서의 함수, 인자 함수란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코드 조각이다. 함수는 기본적으로 () 소괄호가 필요하고 내용이 중괄호에 담겨 코드블럭이라 불리는 {}이 필요하다. argument(인수) 는 함수가 실행되는 동안 어떤 정보를 함수에게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다. Object 안에서도 함수를 선언해 줄 수 있다. function sayHello(){ console.log("hello"); } const player{ name: "JW" helloName : function(name){ console.log("hello" + name + "glad to meet you"); } } player.helloName("jaden"); 보다시피 일반적으로 선언되는 함수는 function 이 먼저 오고 Object 안에서 선언된 함.. [JavaScript] Object(객체)&Property(특성) 객체와 배열 비교 Object 를 사용하는 이유는 가능한 데이터를 잘 정리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Array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것이다. Arrary 로 부족한 이유는, 이것이 적합하지 않은 이유는 배열로는 각 원소, 숫자, 문자열, true/false 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주석을 사용하면 어떻게 저떻게 표현할 수 있겠지만 쉽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Object라는, 객체라는 개념이 탄생한 것이고 사용하는 것이다. 사용법은 배열의 [] 대괄호와 달리 {} 중괄호를 사용하는 것이다. 배열에서는 안에 들어가는 값들이 Element(요소,원소)라고 불린다. 객체에서는 안에 들어가는 값들을 Property(특성)이라고 부른다. 또한 중괄호{} 안에서의 규칙은 밖과 다른데 무슨 말이냐면 '=' .. [JavaScript] 배열, 데이터를 정리하는 법, const로 선언한 배열 수정 배열을 쓰는 것은 항목들에 공통된 맥락이 있을때 쓰는 것이다. 데이터를 정리하는 법은 컴퓨터 과학에서 데이터 구조와 연결되는 아주 큰 부분을 차지하는 분야이다. 가장 기본적인 것은 바로 배열(Array) 이다. 무언가를 나열하기 위해 더 좋은 방법이 필요했고 그것이 바로 Array 이다. JavaScript 안에서는 [], 대괄호 안에 쉼표로 원소들을 구분해서 변수에 할당해주면 배열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배열이 담긴 변수에 원소를 추가하는 것은 .push 로 간단하게 이뤄질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내장함수이든 제작한 함수이든 . 마침표를 붙여줌으로써 함수를 호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cosnole.log const daysOfWeek =["mon", "tue", "wed", "thu", ".. [CS] 비전공자에게 특히 도움이 될 컴퓨터공학 이론 학습 *점진적으로 추가해 나갈 예정 1. Crash Coures CS (유튜브 영상) 트랜지스터, 메모리 구조, CPU와 레지스터, 컴퓨터 구조, 발전의 역사, 그리고 무엇보다 추상화 라는 컴퓨터 공학의 핵심 개념을 굉장히 굉장히 쉽고 재미있게 전달함. 댓글들을 통해 '드디어 컴퓨터 구조를 깨달았다라고 말하는 외국 프로그래머들을 보는 것도 쏠쏠한 재미와 묘한 쾌감. 절대강추 https://www.youtube.com/watch?v=tpIctyqH29Q&list=PLH2l6uzC4UEW0s7-KewFLBC1D0l6XRfye [JavaScript] Boolean 데이터 타입이란? false, null, undefined 비교 변수에 저장할 수 있는 종류가 바로 데이터 타입이다. Number, String, Boolean 등이 있다. 숫자, 문자열, 부울대수 false vs null false 라는 것은 말 그대로 'false 라는 부정의 값이 있는 것'이다 null 은 값 자체가 없다는 것이다. null vs undefined 변수를 선언만 하고 값을 할당해 주지 않은채 콘솔 창에 출력해 보면 undefined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과 null 은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 값이 없다는 의미 면에서는 같다는 것 아닐까? 자세한 설명보다는 null은 절대 자연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심하면 좋을 것 같다. 즉 null 은 '비어있어요' 라는 것을 의도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undefined 는 variable..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7 다음